결혼을 준비하면서 체크할 게 너무 많은데 하나하나 체크하는 과정이 너무 힘들었네요..ㅠ예식장부터 허니문 아이템까지 24년 결혼비용 예산표를 한번에 알아낼 수 있었던 방법을 공유해드릴게요. ㅎㅎㅎㅎ24년 결혼비용 예산을 2억~2억5천만원으로 측정해서 꼼꼼히 살펴봤어요!예식장, 웨딩드레스, 지참금 등 모든 항목에 대한 견적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미리 정해둔 가격대, 취향, 분위기에 맞는 업체들을 재빨리 알아봤어요!
가장 먼저 살펴본 것은 웨딩홀이었습니다. 원하는 장소를 선택한 후 예상 인원에 따라 달라지는 가격을 볼 수 있었습니다. ㅎㅎㅎ 그 외에도 위치, 평점, 수용 인원, 식사 비용 등을 꼼꼼히 살펴보고 원하는 기준에 맞춰 선택했습니다. 눈 깜짝할 새에 웨딩홀이 결정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예산에서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웨딩 비용으로 넘어갔습니다.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 등의 옵션을 살펴본 후, 추가 아이템과 조화로운 구성을 바탕으로 웨딩 비용을 결정했습니다. 웨딩홀부터 웨딩 비용까지 한꺼번에 파악하기 어렵다고 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신부는 웨딩 사이트를 통해 준비했기 때문에 하나하나 다 볼 필요가 없어서 너무 편리했습니다. 각 아이템별로 어떤 기능을 살펴봤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처음 사이트에 들어왔을 때 가장 먼저 보인 건 컬러 아이콘이었어요. 컬러 아이콘은 제 웨딩 예산에 맞는 업체를 찾을 때 유용했어요!! 제 예산에 맞는 아이콘을 클릭했더니 리스트가 만들어졌어요. 각 업체마다 키워드가 있고 그 아래에 해시태그가 있었어요. ㅎㅎ 키워드를 보면 전체적인 분위기를 알 수 있었어요. 먼저 웨딩홀을 봤어요. 리스트에 마음에 드는 곳이 있으면 클릭해서 기본 정보부터 핵심 정보까지 자세히 볼 수 있었어요. 예산에 맞는 웨딩홀을 선택하면 세부정보와 주요정보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제로 웨딩을 진행한 사람들의 견적도 보여주기 때문에 내 예산과 비교할 수 있어서 편리했습니다. 두 번째 항목인 SDMe도 하나하나 선택해서 마음에 드는 업체를 클릭하면 되니까 조건에 맞는 업체들의 견적이 바로 나오더군요. 선택한 업체들을 한꺼번에 포켓에 넣고 총액을 볼 수 있었습니다. 포켓에 들어가는 업체 수에 제한이 없어서 부지런히 넣고 나중에 확인해보니 정말 많이 들어있더군요. ㅋㅋ 포켓 시스템에서 SDMe의 평균 웨딩비용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저희만의 패키지는 만들어졌기 때문에 따로 금액을 계산해야 하는 시간을 스킵할 수 있었습니다. 지참금도 볼 수 있었고 선물(의상, 웨딩드레스), 한복, 가전제품, 결혼선물, 기부금까지 자유롭게 볼 수 있어서 만족스러웠습니다. 지참금 품목을 주머니에 넣어서 예식장, 웨딩드레스, 지참금을 합친 결혼비용 예산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총 예산을 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온라인으로 방문예약을 신청하고 상담을 받을 수 있어서 편리했습니다! 예식장, 웨딩드레스, 지참금을 준비하다 보니 포인트가 많이 쌓였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프리패스로 준비를 마치고 나니 마법처럼 포인트가 많이 들어와서 기분이 좋았습니다 🙂 유용하다는 말을 듣고 어떻게 활용할까 고민 중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장소를 하나하나 골라본 뒤 업체들의 합산 금액으로 결혼비용 예산을 추산할 수 있었습니다. ㅎㅎ 어렵고 복잡한 결혼준비를 하나하나 쉽고 빠르게 준비할 수 있고, 모든 견적을 한눈에 볼 수 있어서 얼마나 좋았는지 모르겠습니다. 아직 준비하지 않으신 분들을 위해 아래에 정보를 남겨둘 테니 들어가서 많은 도움을 얻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신부야 – 결혼 준비하기 힘들까? 한국 최저가 웨딩홀, 웨딩드레스 가격 공개! 후기도 볼 수 있는 웨딩 준비의 첫걸음 www.sinbuya.com